사당역은 소위 강남의 부촌과 서민촌의 경계선에 있다. 서초구 방배동, 관악구 남현동, 동작구 사당동을 배후지로 하고 있는 사당역세권은 이 같은 지리적 특성에 따라 역시 방배·남현·사당동 세곳의 상권으로 나뉜다. 이중 방배와 남현 지역은 상권의 성격과 이용 층은 물론 분위기가 다르다. 남현동 상권이 먹자골목과 유흥가 및 숙박시설이 혼재해 있는 서민형 상권이라면 방배동 쪽은 약간은 품격이 있는 강남의 먹자골목 형태로 형성돼 있다. 서민적 분위기가 풍기면서 단아한 상권의 분위기가 조화되는 곳이다. 무엇보다 사당역세권은 1일 20만명이 이용하는 지하철 2·4호선 유동인구를 흡수할 수 있다는 메리트가 크다. 여기에 수원·과천·안양 등을 오가는 시외형 좌석버스를 비롯한 각급 대학의 통학버스를 이용하는 인구까지 총 10만여명이 유동인구로 보태진다. 동작대로와 남부순환로를 오가는 차량도 하루 40만대에 육박한다. 배후에는 10만명에 가까운 상주인구까지 있어 사당역세권은 상권으로보면 최고라고 할만하다. 따라서 강남 쪽인 방배동 먹자골목의 권리금은 50평 기준으로 통상 2억원을 호가하고 보증금도 5000만~1억원에 이른다. 월세는 700~1000만원을 형성하고 있는 가운데 500만원 이하는 찾아보기 힘들다. 먹자골목은 보쌈, 곱창, 고기집 등 육류가 주류를 이루고 있지만 활어와 참치집 등도 여기저기 보인다. 그 사이사이에 호프집과 바, 그리고 노래방들이 산재해 있지만 룸살롱이나 단란주점 등 유흥주점은 눈에 띄지 않는다. 이곳에는 특히 인근 일대에서 가장 높은 23층의 주상복합 SK리더스뷰 내에 있는 ‘파스텔 시티’가 품격 있는 또 하나의 상권을 형성하고 있다. 스카이데일리가 부촌과 서민촌의 분위기가 섞여 있는 사당역세권 방배동 먹자골목 일대를 취재했다. ![]() |
부자·서민층 어우러진 ‘맛집 소통’ 강남변방
[기획탐방=강남상권을 가다]-<39>사당역 방배상권…강남·비강남 교통요충지
사당역은 소위 강남의 부촌과 서민촌의 경계선에 있다. 서초구 방배동, 관악구 남현동, 동작구 사당동을 배후지로 하고 있는 사당역세권은 이 같은 지리적 특성에 따라 역시 방배·남현·사당동 세곳의 상권으로 나뉜다. 이중 방배와 남현 지역은 상권의 성격과 이용 층은 물론 분위기가 다르다. 남현동 상권이 먹자골목과 유흥가 및 숙박시설이 혼재해 있는 서민형 상권이라면 방배동 쪽은 약간은 품격이 있는 강남의 먹자골목 형태로 형성돼 있다. 서민적 분위기가 풍기면서 단아한 상권의 분위기가 조화되는 곳이다. 무엇보다 사당역세권은 1일 20만명이 이용하는 지하철 2·4호선 유동인구를 흡수할 수 있다는 메리트가 크다. 여기에 수원·과천·안양 등을 오가는 시외형 좌석버스를 비롯한 각급 대학의 통학버스를 이용하는 인구까지 총 10만여명이 유동인구로 보태진다. 동작대로와 남부순환로를 오가는 차량도 하루 40만대에 육박한다. 배후에는 10만명에 가까운 상주인구까지 있어 사당역세권은 상권으로보면 최고라고 할만하다. 따라서 강남 쪽인 방배동 먹자골목의 권리금은 50평 기준으로 통상 2억원을 호가하고 보증금도 5000만~1억원에 이른다. 월세는 700~1000만원을 형성하고 있는 가운데 500만원 이하는 찾아보기 힘들다. 먹자골목은 보쌈, 곱창, 고기집 등 육류가 주류를 이루고 있지만 활어와 참치집 등도 여기저기 보인다. 그 사이사이에 호프집과 바, 그리고 노래방들이 산재해 있지만 룸살롱이나 단란주점 등 유흥주점은 눈에 띄지 않는다. 이곳에는 특히 인근 일대에서 가장 높은 23층의 주상복합 SK리더스뷰 내에 있는 ‘파스텔 시티’가 품격 있는 또 하나의 상권을 형성하고 있다. 스카이데일리가 부촌과 서민촌의 분위기가 섞여 있는 사당역세권 방배동 먹자골목 일대를 취재했다.


지하철 2호선과 4호선 환승역인 사당역은 서울에서 강남역, 고속터미널역, 잠실역 등과 함께 유동인구가 많은 대표적인 역세권 지역으로 꼽힌다. 사당역은 지하철 승하차 인원뿐만 아니라 인근 남태령 넘어 과천을 비롯한 안양, 용인, 수원 등까지 연결되는 시외 광역버스 이용 출퇴근 인구들까지 경유 또는 합류하는 지역이다.

방배천로2길 먹자골목은 1층 50평형 기준으로 권리금이 통상 2억원대를 웃돌아 비교적 비싼 편이다. 상권이 워낙 활기를 띠기 때문에 가게를 구하고 싶어도 어려울 정도다. 하지만 모든 가게들이 잘 되는 것은 아니다. 수년에 한 번씩 음식점 간판들이 바뀌는 곳이 보여 불황의 여파가 이곳 역시 피해가지 않고 있다.



방배골 곱창은 ‘SINCE 1986’이라는 역사를 간판에 달에 원조임을 자랑하고 있다. LA곱창은 상호와는 달리 미국산(?)이 아닌 ‘국내산 100%’라는 신용을 줘 손님들이 늘 많다. 황소곱창도 원조임을 내세우며 12주년 기념으로 소중 1병을 무료로 주고 간·천엽을 무한리필한다는 입간판을 내걸고 있다.


봉화가든 맞은편에는 단층짜리 가건물 같은 곳에 대원이라는 허름한 고기집이 보인다. 갈매기살, 생등심, 갈비살 등의 메뉴 외에도 주물럭과 왕소금구이 등이 안주메뉴다. 왕년의 ‘왕대포 추억’이 흠씬 풍기는 곳이다. 이곳을 기점으로 다시 대각선 맞은편에는 참숯화로집인 초동집이 본점이라는 간판을 내걸고 삼겹살과 갈비살을 팔고 있다.

먹자골목 초입 근처에는 웃찾사라는 노래연습실이 유흥주점 처럼 큰 간판을 걸어 유독 시선을 잡는다. 이곳은 과거 유명한 라디오 DJ가 운영하는 라이브 음악카페였다고 한다. 그 유명세를 타는지 아직도 네온사인 간판이 언뜻 보기에는 노래방 같지 않게 밝고 화려하다.

2~6층에는 불고기 브라더스(고깃집), 코코이 찌방야(카레), 바르미(샤브샤브), 매드포갈릭(양식), 사보텐(돈까스), 신(중국집), 포베이(쌀국수), 이즈미(일식), 경복궁(숯불갈비한식코스), 올리브에비뉴(유러피안 다이닝) 등 다종다양한 메뉴의 식당들이 들어서 있다.
'부동산(상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획탐방=강남상권을 가다]-<41>코엑스4거리…한전·감정원·서울의료원 이전 (0) | 2013.02.21 |
---|---|
[기획탐방=강남상권을 가다]-<40>문정동로데오거리…‘가든5’와 대형상권 형성 (0) | 2013.02.20 |
[탐방=돈 되는 상권<6>]-분당 수내역세권 (0) | 2013.02.12 |
[탐방=돈 되는 상권<7>]-분당 야탑역세권 (0) | 2013.02.12 |
[기획탐방=강남상권을 가다]-<38>수서역…강남보금자리 입주도 호재 (0) | 2013.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