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 서울 견문록 ③-1|동대문구] |
아련한 청량리역 추억, 노년의 都心‘회춘 프로젝트’ |
![]() |
동대문구엔 동대문이 없다. 정확히 33년 전인 1975년 10월 종로구에게 뺏겼다. 사람이 없어서 뺏긴 게 아니라 너무 많아서 뺏겼다. 당시 동대문구에 살던 인구는 74만명에 달했다. 서울시내 15개 구에서 단연 1위. 일부 지역은 성북구와 성동구로 편입됐고, 지금의 동대문이 자리한 지역은 종로구로 넘어갔다. 그럼에도 구 인구가 한때 100만명에 육박해 결국 2개 구로 나눠졌다. 중랑구가 그렇게 만들어졌다. 하지만 2008년 10월 현재, 동대문구민은 38만명도 채 되지 않는다. 강산이 세 번 바뀌는 동안 쇠락을 거듭했던 것. 지역도 세월만큼 쪼그라들고 초라하고 옹색한 모습으로 변했다. 1943년에 구가 설립돼 올해로 65세가 된 노년의 도심, 동대문구는 이제 그 속에서 껍질을 벗듯 변화의 용틀임을 꿈꾸고 있다. 청량리 서울약령시 · 경동시장 10월의 청량리 하늘은 눈이 시리도록 파랬다. 햇빛은 맑고, 바람은 투명했다. 그 바람을 타고 향긋한 약초 냄새가 코끝을 자극했다. 동대문에서 청량리를 잇는 왕산로엔 ‘서울약령시 한의약 문화축제’를 알리는 청사초롱이 가득했다. 축제는 올해로 14회째. 동대문구 제기동 서울약령시와 경동시장은 전국에서 가장 큰 한약재 시장이다. 국내에서 유통되는 한약재의 80%가 이곳을 거쳐간다. 이 지역에 한약재 시장이 형성된 것은 1960년대 중후반부터다. 교통 여건과 관계가 깊다. 박상종 서울약령시협회 회장의 이야기다. “중앙선, 경춘선 등을 통해 강원도와 경기도 동북쪽에서 많이 생산되는 한약재들이 청량리역과 성동역(1971년에 사라졌다. 현재 지하철 1호선 제기동역 옆 한솔동의보감(구 미도파백화점) 건물 자리가 바로 역사가 있던 곳)으로 집결되면서 자연스레 시장이 생겼어요. 지금은 사라지고 없지만 근처 동마장 시외버스터미널을 통해서도 한약재가 많이 들어왔죠. 처음에는 6, 7개에 그쳤는데 1970년대 들어서면서 급증했어요.” 오늘날 한약방은 1100여 개에 이른다. 초창기 한약방 중에 아직도 명맥을 이어가는 곳이 있다. 경동시장 사거리 인근의 우신원한약방이 그중 하나다. 한약재와 40년 가까이 함께해온 이형신 우신원한약방 원장이 가장 귀하게 생각하는 약재는 무엇일까? 바로 인삼이다. “아무리 좋은 약이라도 구하기 힘들면 소용이 없다. 병을 제대로 치료하려면 능히 구하기 쉬워야 한다”는 것이 그의 지론이다. 올해는 특별히 서울약령시를 상징하는 약령문이 만들어졌다. 약령문 준공 기념식이 이번 축제의 하이라이트였다. 하지만 어찌된 일인지 시장 어디에서도 축제 분위기가 느껴지지 않았다. 오가는 사람도 그리 많지 않았다. 불경기 탓일까? |
'부동산기획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련한 청량리역 추억, 노년의 都心‘회춘 프로젝트’ (0) | 2009.05.04 |
---|---|
아련한 청량리역 추억, 노년의 都心‘회춘 프로젝트’ (0) | 2009.05.04 |
강남구 땅값 합계 141조… 돈과 사람 몰리는 ‘럭셔리 마을’ (0) | 2009.05.04 |
강남구 땅값 합계 141조… 돈과 사람 몰리는 ‘럭셔리 마을’ (0) | 2009.05.04 |
강남구 땅값 합계 141조… 돈과 사람 몰리는 ‘럭셔리 마을’ (0) | 2009.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