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문정지구 '무장애 도시' 개발
문정역서 모든 블록까지 지하공원 연결

오는 2011년까지 미래형 업무단지로 개발되는 서울 송파구 문정지구가 문정역에서 모든 블록까지 지하공원을 통해 연결되는 등 '무장애 1등급 도시'로 조성된다.

서울시는 장애인이나 고령자 등 사회적 약자에게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을 보장하기 위해 문정지구를 국내 최초의 '무장애 1등급 도시'로 조성할 계획이라고 7일 밝혔다.

장애인 등 위해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보장

국토해양부와 보건복지가족부는 지난해부터 어린이와 노인, 장애인 등이 이동이나 이용에 불편을 느끼지 않도록 설계 시공된 도시, 건축물 등에 인증등급을 부여하는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arrier Free) 인증제도'를 시행하고 있으며, 시는 문정지구를 대상으로 이 같은 계획을 추진해 1등급 인증을 받는다는 방침이다.

시는 이를 위해 문정지구 내에 문정역과 모든 블록을 연결하는 '지하공간(Sunken) 공원'을 조성, 문정역에서 하차한 시민이 어떤 장애물을 만나지 않고 지구내 공공건축물이나 시설물에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는 보행 네트워크를 구축하기로 했다.

차도ㆍ자전거도로ㆍ보도 구분해 보행안전구역 확보

시는 또 문정지구의 도로를 차도와 자전거도로, 그리고 폭 4~6m 이상의 보도로 구분해 '보행안전구역(Barrier free Zone)'을 확보하고, 횡단보도 연결이나 교통신호체계 구축 등을 통해 도로의 연속성도 확보해 보행자의 이동 단절을 방지할 계획이다.

시는 차도를 줄여 보도를 넓힐 수 없는 지구내 기존 도로는 가로수나 가로시설물의 위치 조정 등을 통해 보행안전구역을 확보하는 방안을 추진할 예정이다.

시는 이와 함께 문정지구내 보도에서 공공 및 민간 건축물에 장애없이 출입할 수 있도록 보도와 건물간 계단 등을 없애는 한편 공공건축물의 1층에는 여성, 노인, 장애인 등이 다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다기능 화장실도 설치할 방침이다.

시는 이 같은 지침을 토대로 전문가 및 시민 의견 수렴 등을 거쳐 오는 6월 문정지구 조성계획 최종안을 확정한 뒤 9월 SH공사의 문정지구 실시설계에 반영, 추진하도록 할 계획이다.

시는 특히 이번 기준을 각종 개발사업의 표준모델로 개발해 향후 조성되는 용산 국제업무지구와 마곡지구, SH공사 발주 사업, 뉴타운사업과 재개발, 재건축 사업 등 대단위 개발사업지에도 적용하도록 유도해 나갈 방침이다.

이인근 서울시 도시계획국장은 "문정지구에 조성될 '무장애 1등급 도시'는 생활환경 전반을 여성, 노약자,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의 관점에 맞춘 '모두가 살기 좋은 도시만들기'의 표본사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문정동 350번지 일대 54만8천313㎡에 들어서는 문정지구는 IT 등의 차세대 첨단산업과 법원, 검찰청 등 공공행정 기능이 결합되고 정보통신 환경을 갖춘 미래형 업무단지로 조성되며, 2011년 완공 목표로 내년초 착공될 예정이다.



Posted by 중개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