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형평수 비율’ 문제를 놓고 개포주공1단지와 함께 서울시와 의견차를 보였던 개포주공4단지가 서울시 의견을 반영, 최근 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통과했다. 이로써 정비계획안에 따라 앞으로 개포주공4단지는 재건축 사업이 진행된다. 그러나 개포주공1단지는 상황이 여의치 않다. 조합원과 서울시 양측이 그 어느 때보다 팽팽히 맞서고 있기 때문이다. 조합원 측은 “소형평수를 더 늘리게 되면 조합원 개개인이 부담하는 재건축 사업분담금이 늘어난다”며 반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부동산 전문가에 따르면 재건축 사업분담금은 약 4000만원 가량 증가될 것으로 추산됐다. 따라서 재건축 조합원은 “사업이 늦춰져도 더 이상 소형평수를 늘릴 수 없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그러나 “조합원의 주장은 인근 단지와의 형평성에도 어긋난다”며 “소형주택 비율 30%는 지켜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또 “개포주공1단지는 원주민이 그리 많지 않은 상황에서 사업성만 고집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말했다. 취재결과 실제 거주 원주민은 10% 안팎인 것으로 확인됐다. 밀고 당기는 줄다리기 속에 그 불똥은 낡은 주택에서 기거하고 있는 원주민에게 튀고 있다. 스카이데일리가 재건축 조합원과 서울시 입장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는 개포주공1단지를 현장 취재했다.

투기 대명사 개포1단지, 수천억 이권에 배수진

[재건축 르포<22>]-개포주공1단지…소형평수 비율 놓고 反서울시 입장 불변

‘소형평수 비율’ 문제를 놓고 개포주공1단지와 함께 서울시와 의견차를 보였던 개포주공4단지가 서울시 의견을 반영, 최근 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통과했다. 이로써 정비계획안에 따라 앞으로 개포주공4단지는 재건축 사업이 진행된다. 그러나 개포주공1단지는 상황이 여의치 않다. 조합원과 서울시 양측이 그 어느 때보다 팽팽히 맞서고 있기 때문이다. 조합원 측은 “소형평수를 더 늘리게 되면 조합원 개개인이 부담하는 재건축 사업분담금이 늘어난다”며 반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부동산 전문가에 따르면 재건축 사업분담금은 약 4000만원 가량 증가될 것으로 추산됐다. 따라서 재건축 조합원은 “사업이 늦춰져도 더 이상 소형평수를 늘릴 수 없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그러나 “조합원의 주장은 인근 단지와의 형평성에도 어긋난다”며 “소형주택 비율 30%는 지켜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또 “개포주공1단지는 원주민이 그리 많지 않은 상황에서 사업성만 고집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말했다. 취재결과 실제 거주 원주민은 10% 안팎인 것으로 확인됐다. 밀고 당기는 줄다리기 속에 그 불똥은 낡은 주택에서 기거하고 있는 원주민에게 튀고 있다. 스카이데일리가 재건축 조합원과 서울시 입장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는 개포주공1단지를 현장 취재했다.


 ▲ 최근 강남 재건축 아파트의 대표적인 투기의 온상인 개포주공1단지 아파트 재건축 사업을 놓고 서울시와 조합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 개포주공1단지 위치도(위) 및 전경 ⓒ스카이데일리

최근 ‘소형평수 비율’ 문제를 놓고 개포주공1단지와 함께 서울시와 의견차를 보였던 개포주공4단지가 결국 서울시의 의견을 반영, 재건축 사업이 진행됨에 따라 나머지 개포주공1단지에 귀추가 모아지고 있다.
 
개포주공1단지 주민들은 그러나 최근까지 “소형평수를 더 늘리게 되면 조합원 분담금이 증가해 양보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반면 서울시는 “인근 단지와의 형평성에도 어긋난다”며 소형평수 비율을 맞출 것을 요구하고 있어 양측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주민들 “소형평수 상향은 개인재산 막대한 피해”
 
당초 제출했던 소형평수 비율인 20%에 비해 무려 5.6%나 상향 조정하면서도 번번히 승인보류 판정을 받은 개포주공1단지는 “더 이상 양보는 없다”는 강경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인근 S부동산 관계자인 K씨는 “처음 계획안에 반영됐던 비율인 20%는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이하 도정법)에 제시된 최소비율로, 조합은 서울시와의 협상과정에서 계속해서 비율을 상향해 왔다”고 말했다.
 
 ▲ 개포주공1단지 조합원들은 소형평수를 늘릴 경우 조합원 분담금이 가중해 더 이상은 늘릴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그 과정에서 조합 전체 인원이 재건축 사업을 위해 부담할 분담금 총액이 ‘소형 20% 비율 계획’에 비해 무려 2030억원 증가했다”고 밝혔다.
 
조합 전체가 부담할 총액을 K씨가 주장한 계산 방식에 따라 살펴보면, 조합원이 예상한 평당 분양가액인 3000만원을 ‘소형 20% 비율 계획’에 반영된 25평형 아파트에 적용할 경우 25평형 아파트의 일반분양가는 7억5000원으로 계산된다.
 
당초 소형 20% 비율을 적용한 계획안의 일반 및 임대 소형평수 아파트 수는 1280세대다.
 
이에 재건축으로 인해 조합원들이 얻게 될 금액은 약 9625억원 가량이며 모두 재건축을 위한 비용에 보태진다.
 
하지만 현재 조정한 25.6% 비율이 적용된 계획안은 소형평형을 16평으로 낮추고 가구수는 1588세대로 늘리는 내용이다.
 
이에 16평형 아파트 일반분양가는 4억8000만원이며 가구수가 1588세대임을 감안해 계산하면 조합원이 얻게 될 금액은 약 7622억원 가량이다.
 
결국 재건축 사업에 투입될 일반분양 금액이 적어지게 되고 사업을 위한 주민들의 분담금은 더 증가하는 것이다.
 
따라서 총 2003억원의 조합원 분담금이 더해진다고 예측했을 때, 5040명의 조합원 개개인이 부담할 재건축 사업 분담금은 3974만원 가량 증가하게 된다.
 
재건축 조합 “사업 늦춰져도 소형평수 못 늘린다”
 
개포주공1단지 조합원들은 소형평수를 더 늘리면서 금전적인 피해를 더 입는 것을 원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다.
 
기자가 이 곳 조합원들의 입장을 듣기 위해 조합사무실을 찾았다.
 
하지만 조합측의 정확한 입장을 확인하기 위해 조합장의 인터뷰를 요청하고 여러 시간을 기다렸으나 끝내 만나지 못해 조합측의 의견은 듣지 못했다.
 
다만 조합사무실에 근무중인 한 관계자는 “소형평수를 늘리면 주민분담금이 늘어나기 때문에 현재 계획한 25.6%이상으로 올릴 계획은 아직 없다”며 “조합원 대다수가 같은 생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사업이 늦어지더라도 아직까지 현재 비율이상의 계획안은 나오지 않을 것으로 예측된다”고 덧붙였다.
 
서울시 “실제 원주민 적고 사업성 주장 인정못해”
 
 ▲ 서울시는 인근 단지와의 형평성을 이유로 소형평수 비율 30% 가이드라인을 철저히 지킬 것임을 밝혔다.
서울시 또한 처음 얘기했던 ‘주변 단지와의 형평성’을 이유로 30%대를 고수할 방침이다.
 
서울시 도시계획과 박정우 주무관은 “다른 단지와의 형평성을 고려해야 한다”며 “물론 다른 단지와의 실정차이에 대한 부분은 인정하지만 결과론적인 면만을 봤을때는 소형주택 비율을 일률적으로 정해야 한다는 입장이다”고 말했다.
 
또한 박 주무관은 “개포주공1단지는 원주민이 그리 많지 않은 상황임이 파악됐고 이 같은 상황에서 너무 사업성만을 고집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판단한다”며 “30%선을 양보할 계획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기자가 이곳 인근 부동산들을 탐문 취재한 결과 대부분의 부동산 업주들은 “개포주공1단지의 실제 거주 원주민 비율은 10% 안팎이다”라고 한결같이 대답했다.
 
조합원과 서울시 사이서 실제 거주 원주민 고통
 


 ▲ 개포주공1단지 건물들은 노후가 심해 비가 새고 화재경보기가 떨어져 나가는 등 전형적인 낡은 건물 모습이었다.

이처럼 서울시와 개포주공1단지 조합원들이 팽팽하게 맞선 가운데 그 피해는 고스란히 개포주공1단지 내에 살고 있는 소수의 원주민들에게 돌아가고 있다. 
 
개포주공 1단지는 건물노후도가 심해 실제 주민들이 생활하는 데 불편함이 크고 곳곳에 위험한 징후들도 엿보였다. 
 
주민 L씨는 “재건축사업이 빨리 진행될 수 있게 현재 우리가 처한 입장을 잘 반영해 달라”며 “외형적인 모습만 보더라도 건물이 상당히 낡은 것은 물론이고 내부 사정은 이보다 더 심각하다”고 설명했다.



 

Posted by 중개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