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의정부시는 8일 도심을 2개 대생활권과 6개 중생활권으로 구분해 개발하는 내용의 '2020년 도시기본계획'을 확정했다.
시(市)는 또 수도권 과밀억제정책에 따라 2020년까지 계획인구를 50만명으로 정했다.
의정부시 도시기본계획에 따르면 중랑천을 기준으로 동.서부 2개 대생활권으로 분류하고 동부를 금오.송산.장암 등 3개 중생활권으로, 서부를 가능.중앙.호원 등 3개 중생활권으로 나눠 개발한다.
2개 대생활권, 5개 중생활권으로 나눠 개발
또 도시 구조를 의정부동 일대 1도심과 광역행정타운이 조성될 자금.신곡동 일대 1부도심, 가능.녹양동, 송산동, 호원동 등 3지역 중심으로 균형 개발한다.
중앙생활권은 정비에 따른 도심 중추기능과 의정부 민자역사 등 주변 개발을 통한 상업.업무기능이 강화되며 금오생활권은 경기북부의 광역행정업무 중심지와 주거.상업 기능 정비를 통해 부도심 기능을 하게 된다.
송산생활권은 중저밀도의 친환경 주거단지와 BT산업 특성화 등 산.학.연 네트워크가 구축되며 장암생활권에는 온천개발에 따른 휴양과 위락 공간이 조성된다.
가능생활권은 녹양역 환승센터 등 역세권 기능이 강화되고 호원생활권은 도봉산, 수락산 등 자연경관을 이용한 관광 상품화와 함께 경관지구 정비에 따라 친환경적 주거지로 바뀐다.
반환 미군기지 4곳은 시가화용지로
특히 시는 캠프 레드클라우드.에세이욘.카일.시어즈 등 반환 대상 미군기지 4곳을 시가화 용지로 도시기본계획에 반영해 교육.연구와 문화.여가, 행정 중심지로 개발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시는 2006∼2010년 녹양지구, 민락2지구, 상계.장암지구 택지개발사업이 완료되고 금오동 일대 버스터미널을 활성화해 경전철과 연계한 환승센터가 구축된다.
2011∼2015년 캠프 레드클라우드 이전 부지에 대학과 첨단산업연구단지가 들어서고 캠프 스탠리에 종합체육시설과 체육공원이, 캠프 잭슨에는 예술공원이 조성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도시공간을 단행집중형에서 다핵분산형으로 전환해 균형발전을 유도할 것"이라며 "미래 의정부는 군사도시 이미지에서 벗어나 행정.교육문화.환경생태.지식산업 도시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단계별 계획인구 (단위 : 인) 구 분 | 2005년 | 2010년 | 2015년 | 2020년 | 단계별계획인구 | 410,000 | 480,000 | 495,000 | 500,000 |
□ 생활권별 개발방향 구 분 | 주요 기능 | 개 발 방 향 | 동 부 대 생 활 권 | 금 오 중생활권 | • 부도심 • 행정․업무 • 주거 • 상업 | • 경기북부의 광역행정업무 중심지로 육성 (광역행정타운조성 - Camp kyle, Camp Sears) • 주거 및 상업기능 정비를 통한 부도심 기능 강화 • 부용천 하천환경정비사업 추진(자연형 하천) • 금오공원과 연계하여 캠프 에세욘 부지내 문화․여가기능 및 공공업무기능 도입 | 송 산 중생활권 | • 주거 • 산업 • 휴식 • 체육․레저 | • 중저밀의 친환경적 주거단지 조성 • 친환경 지식기반산업 육성 • BT산업의 특성화 및 산․학․연 네트워크 구축 • 조정가능지역의 계획적, 단계적 개발 • 스탠리 부지를 활용하여, 체육·레저기능 도입 | 장 암 중생활권 | • 주거 • 휴양 | • 도시자연공원, 근린공원의 체계적 개발을 통한 휴식공간의 확보 • 온천개발로 휴양 및 위락공간 제공 • 노후된 청룡마을의 재개발사업추진을 통한 도심주거환경 개선 | 서 부 대 생 활 권 | 가 능 중생활권 | • 주거 • 교육․연구 • 체육․문화 • 여가 | • 광역교통의 결절지인 녹양역에 환승센터개발 등 역세권 기능 강화 • 레드클라우드 부지를 활용하여 대학 유치 및 첨단산업연구단지 조성 • 가능동 일원의 미개발 상업용지의 계획적 개발 통한 지역생활 중심으로 육성 | 중 앙 중생활권 | • 도심 • 중심상업 • 행정업무 • 문화예술 | • 기존도심 정비로 도심 중추기능 강화(도시환경정비사업 추진) • 의정부 민자역사 및 주변지역 개발을 통한 상업 및 업무기능 강화 • 미군부대 이전부지내 공원조성을 통한 도심지내 부족한 휴식공간 확보 • 문화의 거리, 공연·전시시설 등 이벤트공간 조성(캠프 라과디아) | 호 원 중생활권 | • 주거 • 관광․휴식 • 교육 | • 기존 경관지구 정비로 쾌적한 주거환경 조성 • 안말2지구 주거환경개선사업 추진 • 예비군 훈련장 일원의 미개발 주거용지(자연녹지지역)의 단계적 개발추진 • 도봉산, 수락산, 역사적 유물 등 관광자원을 정비하여 문화관광 상품화 모색 • 고급교육기능 강화 |
□ 생활권별 인구배분 (단위 : 만인) 구 분 | 인 구 배 분 (천인) | 목표년도 인구밀도 (인/ha) | 2003 | 2005 | 2010 | 2015 | 2020 | 총밀도 | 순밀도 | 계 | 397,145 | 410,000 | 480,000 | 495,000 | 500,000 | 61 | 317 | 동부대생활권 | 202,512 | 211,000 | 262,000 | 273,000 | 274,000 | 52 | 321 |
| 금 오 | 72,363 | 77,000 | 80,000 | 82,000 | 83,000 | 59 | 303 |
| 송 산 | 66,385 | 68,000 | 111,000 | 119,000 | 119,000 | 44 | 293 |
| 장 암 | 63,764 | 66,000 | 71,000 | 72,000 | 72,000 | 60 | 414 | 서부대생활권 | 194,633 | 199,000 | 218,000 | 222,000 | 226,000 | 79 | 313 |
| 가 능 | 64,160 | 65,000 | 77,000 | 78,000 | 80,000 | 57 | 252 |
| 중 앙 | 63,768 | 65,000 | 67,000 | 69,000 | 70,000 | 178 | 367 |
| 호 원 | 66,705 | 69,000 | 74,000 | 75,000 | 76,000 | 71 | 356 |
□ 단계별개발계획 개발단계 | 주 요 개 발 방 향 | 1단계 (2003~2005) | ▶ 기 시행중인 주택건설사업 등 완료 ▶ 기존 시가지 정비 | 2단계 (2006~2010) | ▶ 녹양지구, 민락2지구 택지개발사업 ▶ 상계․장암지구 도시개발사업 ▶ 의정부동 일원의 미군부대 이전부지(Camp Falling Water, Camp La Guardir)의 계획적인 개발 유도 ▶ 금오동 일원의 미군부대 Camp Essayons 이전부지내 업무 및 문화․여가기능 도입 ▶ 금오동 일원의 미군부대 이전부지(Camp kyle, Camp Sears)내 행정타운 조성 ▶ 개발제한구역내 집단취락 우선해제지역의 계획적인 개발 유도 ▶ 송산동 일원의 개발제한구역내 일반조정가능지역의 계획적인 개발 유도 ▶ 개발제한구역내 지역현안사업 대상지에 바이오사업 추진 ▶ 안말2지구 주거환경개선사업 추진 ▶ 가능동 일원 미개발지의 계획적인 개발유도 ▶ 금오동 버스터미널 활성화(경전철과 연계한 환승센터 구축) ▶ 호원동 일원의 미개발 주거용지(예비군훈련장 북측 자연녹지지역)의 계획적인 개발 유도 ▶ 장암동 일원의 유원지(온천지구) 개발을 통한 휴양 및 유희시설 도입 | 3단계 (2011~2015) | ▶ 미군부대 Camp Red Cloud 이전부지내 대학 및 첨단산업연구단지 조성 ▶ 미군부대 Camp stanley 이전부지내 시민들의 체육 및 여가활동을 위한 종합체육시설 및 체육공원 조성 ▶ 미군부대 Camp Jackson 이전부지내 예술공원 조성 ▶ 호원동 일원의 미개발 주거용지(예비군훈련장)의 계획적인 개발 유도 | 4단계 (2016~2020) | ▶ 가능동 군부대(107 통신대)이전 유도 및 개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