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도시 어떻게 개발되나?
선진국형 주거ㆍ교육환경 마련

충남 연기ㆍ공주지역에 들어서는 행정중심복합도시에는 쾌적하고 자연친화적인 주거환경이 조성되며 도시기능이 대중교통축을 따라 효율적으로 분산 배치된다.

도시 전체 면적의 52%인 3천800만㎡(1천148만평)는 녹지로 조성되며 주거지는 저밀도형 주택부터 도심형 공동주택까지 다양한 유형으로 공급된다.

행정도시건설청이 27일 발표한 개발계획안은 지난 7월 확정된 기본계획을 세부화한 토지이용계획을 담고 있다.

어떻게 구성되나

행정도시에서는 주택용지로 총 1천600만㎡(496만평)가 공급되며 상업업무용지 150만㎡(45만평), 첨단산업업무용지 90만㎡(27만평)가 각각 공급된다.

중앙행정기관은 총 40만㎡(12만평)에, 도시 공공청사는 48만㎡(15만평)에, 정부출연기관은 13만㎡(4만평)에 들어서며 교육시설용지가 282만㎡(85만평)를, 문화ㆍ복지ㆍ의료ㆍ체육시설은 총 184만㎡(56만평)를 차지한다.

공공기반시설은 도로 769만2천㎡(233만평), 도시기반시설 85만6천㎡(26만평) 등 총 949만8천㎡(290만평)에 들어서게 된다.

이들 용지는 지난 7월의 기본계획대로 중앙행정ㆍ문화국제교류ㆍ도시행정ㆍ대학연구ㆍ의료복지ㆍ첨단지식기반 등 6개 주요 기능별로 나뉘어 공급된다.

자연 속 생활공간

도시 중심부에는 시민들의 문화.레저 공간으로 쓰일 오픈스페이스가 조성되며 이 공간에서 도시 경계까지를 폭 30m 이상의 쐐기형 녹지로 잇는 연결녹지가 방사형으로 조성된다.

21개 기초생활권의 경계도 녹지로 구분되고 생활권 곳곳에 소규모 공원이 총 67개 조성되며, 보행로는 시골 오솔길과 비슷한 느낌이 나는 총 33㎞의 녹도로 만들어진다.

또 역사공원과 묘지공원, 수변공원 등 주제별 공원과 함께 각 도로나 첨단산업단지의 경계에 시설 보호와 소음 방지를 위한 폭 20m 이상의 완충녹지를 조성한다.

금강과 미호천도 원형을 최대한 보존할 수 있도록 정비되며 강변과 하천변은 친수지구 45%와 복원지구 22%, 보전지구 33%로 나뉘어 생태 보존과 시민 접근성을 동시에 살리게 된다.

이밖에 경관이 좋은 곳을 중심으로 조망축을 확보하고 건축물 높이도 시각원추형(View cone)으로 계획해 자연과 인공이 어우러지는 도시 경관을 만들 계획이다.

'선진국형' 주거ㆍ교육환경

행정도시내 주택은 2030년까지 총 20만가구가 공급되며 ▲저밀형(단독ㆍ연립주택) 7.1% ▲중저밀형(저층형 주택) 19.6% ▲중밀형(중고층 공동주택) 65.1% ▲고밀형(도심형 공동주택) 8.2%로 구성된다.

공동주택은 총 18만6천가구를 공급하며 이 가운데 임대주택은 최근 전국 비율과 비슷한 20% 수준으로 하되 가급적 국민임대주택으로 공급할 계획이다.

초ㆍ중ㆍ고등학교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수준에 맞춰 학급당 학생수를 20명으로 하며, 대학교는 30만~60만㎡ 규모의 종합대학 2~3개를 포함한 4~5개를 유치한다.

문화ㆍ의료시설로는 박물관, 미술관, 종합도서관, 전문공연시설 1개씩과 보건소 1개, 종합병원 3개가 들어서며, 가치가 높은 예정지내 문화재를 이전ㆍ복원하고 민속마을도 조성한다.

효율성을 살린 도시 기반

2012~2014년 3년간 단계적으로 이전하는 중앙행정기관은 과천청사(36만9천㎡)과 대전청사(51만7천㎡)의 중간인 40만㎡(12만평)에 들어서며 중심관리ㆍ산업과학ㆍ국토관리ㆍ1차산업ㆍ사회복지ㆍ교육문화 등 6개 기능별로 배치된다.

이와 함께 17개 정부출연기관도 4개 기능군으로 나눠 배치되며 도시행정기관은 시민 접근성이 좋은 금강변에 배치한다.

교통은 대중교통중심도로와 대중교통전용지구를 전면 도입해 대중교통 중심으로 구축하며 총 123㎞의 자전거도로와 특화거리형 보행자전용도로, 주거형 보행자전용도로도 도입된다.

상ㆍ하수도 시설과 폐기물 처리는 자원순환형으로 계획되며 열ㆍ전기ㆍ가스공급시설을 미호천 상류지역과 금강 하류지역 2곳에 복합화해 설치하고 신재생에너지를 전체 수요의 5% 이상을 목표로 도입한다.

행정도시 건설에 소요되는 비용은 정부에서 1단계 3조4천500억원, 2단계 1조2천900억원, 3단계 1조1천900억원 등 총 8조5천억원을, 사업시행자가 1단계 8조2천억원, 2,3단계 각각 2조5천억원 등 총 13조2천억원을 각각 부담한다.

정부는 재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복지시설과 문화시설 등에 민간자본 3천200억원을 적극 유치하고 각 개발사업을 패키지화해 중복투자로 인한 비용 증가를 막는다는 계획이다.


조인스랜드 취재팀

Posted by 중개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