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동 옛시가지 개발 무산? |
보상 노린 신축건물이 발목잡아 |
양천구는 목 2∼4동 일대의 옛시가지 30만평을 도시재정비촉진지구로 개발할 계획으로 타당성 용역을 준 상태다. 이 지역은 1970∼80년개 형성된 노후주택밀집지역으로 기반시설이 열악하고 주민들의 개발요구가 강한 곳이다. 노후도가 심하지 않아 서울시의 뉴타운에 포함되지는 않았지만 7월 시행된 도시재정비촉진특별법의 재개발요건 완화 혜택을 받으면 촉진지구로 개발가능할 것으로 본 것이다. 특별법은 현행 재개발 요건을 20%까지 완화할 수 있도록 했는데 이런 혜택이 없어도 호수밀도나 접도율 등은 재개발 요건에 맞을 만큼 열악한 상황이다. 문제는 노후도였다. 현행 재개발 노후도 요건은 20년 이상된 건물이 전체의 60% 이상이다. 구청이 용역을 발주한 것도 노후도를 집중적으로 따져 사업성이 있는지를 따져보려는 것이었다. 그런데 특별법은 호수밀도 등 다른 요건의 기준은 완화하면서 노후도는 뺐다. 노후도 요건을 너무 낮게 하면 보존하고 살만한 지역도 허물어 무분별한 개발이 우려돼서다. ![]() 노후도 높아야 되는데 새집 때문에 자격 미달? 노후도 완화가 없어도 사업이 가능하지 않겠느냐는 생각에서 용역을 줬는데 난데없는 불청객이 들어왔다. 개발계획 검토가 알려지면서 개발 후 보상과 분양권을 노린 건물 신축이 봇물을 이룬 것이다. 양천구청은 건축허가는 제한하지 않았다. 구청 관계자에 따르면 올들어 들어온 건축허가의 80%가 옛시가지에 집중됐다. 새 건물이 잇따라 들어서면서 노후도에 불똥을 튀겼다. 그러잖아도 노후도 요건이 맞을까 불확실한 상태에서 건물 신축이 계획에 차질을 준 것이다. 구청 관계자는 “신축 건물들 때문에 노후도가 4∼5%는 낮아진 것 같다”며 “연말께 최종 용역결과가 나와봐야 확실해지겠지만 지금으로선 촉진지구 개발을 낙관하기 힘들어졌다”고 말했다. 목동 옛시가지 일대는 개발 소문이 퍼지면서 평당 1000만원선이던 소형 빌라 가격이 배 이상 올라 평당 2000만원을 넘게 호가한다. 목동 옛시가지 개발의 앞날은 사업을 추진하는 구청도 장담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
안장원 기자[ahnjw@joongang.co.kr] |
저작권자: 중앙일보 조인스랜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부동산(개발,재개발,재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기신도시 13곡서 119만명 수용 (0) | 2006.09.11 |
---|---|
촉진지구 용적률 상향폭 크지 않을듯 (0) | 2006.09.09 |
신길뉴타운, 영등포 부도심으로 부상 부푼 꿈 (0) | 2006.09.07 |
왕십리가 젊어진다 (0) | 2006.09.07 |
서울 땅속길은 돈길 (0) | 2006.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