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후지역 오명벗고 첨단산업도시 탈바꿈
르네상스 프로젝트로 개발 기대감 커

잿빛 공장과 낡은 주택 등이 빽빽하게 들어선 서울 서남권은 10년 후 어떤 모습 일까. 2020 서울 도시기본계획에 이곳의 장밋빛 미래상이 잘 담겨 있다. 이 계획에 따르면 서울 서남권 준공업지역은 2020년이면 '제2의 테헤란로'로 탈바꿈하게 된다.

시는 지난 6월 이를 위한 '서울 서남권 르네상스 프로젝트'를 내놨다. 이 프로젝트는 2020 서울 도시기본계획의 실행 계획에 해당하는 것으로 서남권 개발에 대한 서울시의 의지가 잘 나타나 있다.

특히 서남권 르네상스 프로젝트는 이전까지 주로 문화나 디자인 개발 등에 역점을 두고 시정을 이끌어 온 오세훈 시장이 취임 이후 최초로 내놓은 대규모 부동산 개발계획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깊다.

최근에는 이를 보다 구체화한 '신(新) 도시계획체계 도입방안'도 발표됐다. 시 곳곳에 산재한 준공업지역 등의 미개발지를 개발해 향후 서울의 10∼20년을 먹여 살릴 공간으로 만들겠다는 게 이 방안의 핵심 내용이다. 당연히 낡은 공장부지가 많은 서울 서남권이 이 방안의 가장 큰 수혜지역으로 떠오른다. 현재 이 권역에만 서울 전체 준공업지역(27.7km²)의 82.1%(22.7km²)가 몰려 있다.

영등포구 당산동 풍년공인 이형순 사장은 "그동안 서남권은 서울의 대표적 낙후지역이라는 오명을 써왔다. 그러나 최근 여러 가지 개발계획이 많이 나와 기대가 크다"고 말했다.

#4개 거점축 중심 개발

시는 서울 서남권을 4개의 거점 축을 중심으로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신경제거점축, 한강르네상스거점축, 경인경제거점축, 연구개발산학연협동축으로 요약된다.

영등포~신도림~가산~시흥으로 이어지는 신경제거점축은 지식·창조·문화 산업의 '허브'(hub·중심 또는 바퀴축)로 집중 개발될 예정이다. 시는 이를 위해 우선 이곳의 준공업지역 비율을 현재 25%에서 20%로 축소할 방침이다. 굴뚝형 공장을 줄이는 대신 첨단형 산업을 집중시킨다는 복안에서다.

지하철 2호선 신도림역 주변 준공업지역이 대표 주자다. 시는 이곳에 '서울 디지털 콘텐츠 콤플렉스'를 지어 게임산업의 메카로 육성시킨다는 계획이다. 인근 공장 밀집지역에는 디지털 콘텐츠 콤플렉스와 연계한 첨단산업이 집중 유치된다. 게임&멀티미디어 '클러스터'(cluster·집적체)로 키우기 위해서다.

시는 이를 위해 이곳의 낡은 공장지역을 재개발해 장기 전세임대용 아파트형 공장 단지인 '산업시프트'를 내놓기로 했다. 2015년까지 약 2000억원을 투입해 2~4개 단지 4만8000㎡를 조성한 뒤 첨단업종 등 190여개 업체를 이곳에 입주시킨다는 게 시의 복안이다.

여의도~양화~가양~마곡~김포공항을 연결하는 한강르네상스경제거점축은 국제 금융과 생명의료(바이오메디) 산업의 중심지로 탈바꿈한다. 이 거점 축의 개발 중심지는 뭐니뭐니해도 마곡지구다. 이곳은 서울을 아시아 경제 중심도시로 탈바꿈시키기 위한 디딤돌 역할을 맡게 된다.

우선 1단계로 2015년까지 정보기술(IT), 생명공학(BT), 나노기술(NT)의 첨단 융합기술 연구개발(R&D)단지가 이곳에 조성될 예정이다. 이를 지원할 호텔, 위락시설 등도 짓는다. 주거지역에는 주택 9500여 가구를 지어 2만6000여 명이 살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여의도~영등포~목동을 잇는 경인경제거점축은 송도, 영종, 청라지구 등 인천경제자유구역과 연계한 업무복합공간으로 거듭 나게 된다. 특히 여의도·영등포 부도심은 이미 '금융보험· IT산업·상업유통 1번지'로 개발되고 있다. 여의도 옛 중소기업전시장 부지엔 국제금융센터(지상 55층)가 한창 올라가고 있다. 인근 통일주차장 부지엔 오피스텔·호텔·쇼핑몰 등의 대형 복합단지가 들어설 예정이다.

영등포역 건너편에 위치한 경성방직 부지도 대규모 복합단지로 개발 중이다. 이곳은 특급호텔, 백화점, 쇼핑몰, 컨벤션센터, 공연장 등을 들여 '원-스톱'(one-stop·일괄처리) 생활공간으로 만들 예정이다.

인근 신길뉴타운은 여의도·영등포 부도심의 직주근접형 배후 주거지로 개발되고 있다. 2015년까지 아파트 등 주택 1만8845가구를 짓는다는 계획이다. 영등포 뉴타운은 상업과 업무, 주거 기능이 어우러진 복합단지로 탈바꿈한다.

서울대~숭실대~중앙대를 아우르는 연구개발산학연협동축은 연구개발(R&D) 밸리로 조성해 정보기술(IT)과 바이오기술(BT) 산업 중심지로 발전한다.

#사통팔달 교통망 구축·녹지공간 조성

시는 서남권 르네상스 프로젝트에 발맞춰 이곳에 경전철, 신교통수단 등을 갖춘 교통 네트워크를 구축할 예정이다.

경전철이 앞장 선다. 우선 서울의 대표적 교통 취약지역으로 꼽혔던 양천구 신월동~신정역~영등포구 당산역 간 10.87㎞를 연결하는 목동선은 2017년 개통될 예정이다. 영등포구 여의도~보라매역~신림역~관악구 서울대로 이어지는 신림선(7.82㎞)도 비슷한 시기 뚫린다. 이들 경전철은 모두 사업은 민자로 진행될 계획이며 재정 여건을 고려해 2009년부터 9년간 단계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또 시는 강남순환고속도로 개설과 경인고속도로 지하화를 통해 동서간 교통체계를 대폭 개선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서부간선도로의 교통 용량을 크게 늘이고, 광명~시흥간 고속도로를 신설해 서울 서남권에 '사통팔달'의 광역 교통망을 구축할 계획이다. 여의도~장승배기, 남부순환~부천시계간 등 5개의 주요 지역의 도로도 증설될 예정이다.

관악구 난곡∼신림 구간 등엔 신교통수단인 BRT(Bus Rapid Transit ·간선급행버스체계)도 도입된다.

시는 이외에도 문화와 디자인으로 서남권지역의 브랜드가치를 높이기 위해 안양천과 도림천을 생태 하천으로 복원할 생각이다. 시는 또 서남권 외곽에 위치한 온수도시자연공원, 관악산도시자연공원 등을 연결하는 W자형 거점휴식공간을 조성하고 생태육교 건설을 통해 단절된 녹지축을 연결해 서남권 그린네트워크를 만들기로 했다. 김영태 기자 neodelhi@joongang.co.kr

준공업지역=공업시설 이외에도 주거·상업·업무 시설의 설치가 가능한 곳. 서울에선 영등포구, 구로구, 금천구 등에 모두 2773만㎡가 있다. 서울 전체 면적의 4.6%(여의도 면적의 약 3배)에 달한다. 정부는 10월 30일 국토이용 효율화 방안을 통해 자치단체가 개발계획을 수립할 경우 이곳에 복합단지 개발을 허용하기로 했다.
투자포인트
실수요자 위주 장기적 접근 필요
서울ㆍ경기 경계지역 땅 노려볼만

서울 서남권은 다른 권역과는 달리 올 여름까지만 해도 부동산 값이 상승세였다. 서남권 르네상스, 지하철 9호선, 뉴타운 등의 개발 호재가 풍성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요즘엔 상승세가 꺾인 상태다. 대규모 개발 재료가 풍년을 이뤘지만 결국 부동산 경기침체라는 장벽을 뛰어 넘지 못했다.

전문가들은 이곳 투자는 장기적 관점에서 실수요를 중심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한다. 유엔알컨설팅 박상언 대표는 "저평가 지역이라는 인식이 많고 지역 발전에 대한 기대감도 높아 경기가 회복되면 이곳 부동산 값이 상승세를탈 수 있을"이라고 말했다.

기존 아파트의 경우 공장부지, 준공업지역 등의 개발 예정지 주변을 노려볼 만하다. 현재 이곳 아파트값은 일제히 하락세다. 주변에 공장부지가 많은 금천구 독산동 한신아파트 115㎡의 경우 최근 올해 초 대비 4000만원 가량 떨어진 가격에 매물이 나와 있다. 하지만 매수세가 위축돼 거래가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다. 서남권 다른 지역도 비슷한 상황이다. 금천구 시흥동 이화공인 관계자는 "집값이 바닥까지 떨어질 때까지 기다렸다가 급매물을 줍는 역발상 투자도 고려해 볼만하다"고 말했다.

토지의 경우 서울 서남부 시계(市界)인 구로구 항동, 금천구 시흥동 일대 등을 눈 여겨 볼 필요가 있다. 그동안 개발제한구역, 시계경관지구 등으로 묶여 땅값이 다른 지역에 비해 쌌지만 최근 규제 완화 분위기로 개발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부천시와 경계를 접해 경관지구로 묶인구로구 항동 일대 논·밭 값은 현재 3.3㎡당 150만∼200만원 선으로 서초구 우면동 일대 등에 비해 저렴한 편이다. OK시골 김경래 사장은 "올해 7월부터 경관지구라도 200㎡ 미만의 대지인 경우조경의무 면적이 적용되지 않는 것으로규정이 바뀌어실수요라면 노려볼 만하다"고 말했다.

서울 서남권 주요 개발지

위치

사업명

면적()

사업내용

사업단계

개발방식

중개업소

문의(02)

^영등포구

신길동

신길뉴타운

1469910

주택 18845가구

구역별 조합설립

재정비촉진지구

(주거지형)

841-6500

영등포동

영등포뉴타운

226005

상업ㆍ판매ㆍ업무시설, 아파트

도시건축공동위원회 심의 완료

재정비촉진지구

(중심지형)

849-4488

여의도동

국제금융센터

(중소기업전시장 부지)

33058

오피스 3개동, 호텔1개동

착공(2006 6)

지구단위계획

786-5555

여의도동

파크원

(통일주차장 부지)

46465

오피스텔 2개 동, 호텔 1개 동

쇼핑몰 1개 동

착공(2007 6)

지구단위계획

784-1777

영등포4

타임스퀘어

61470

호텔·백화점·컨벤션센터

2009 8

완공 예정

지구단위계획

834-4000

문래동6

롯데삼강 부지 개발

15385

미정

미정

지구단위계획(예정)

2677-9000

문래동3

방림 공장부지 개발

3689

미정

미정

지구단위계획(예정)

2675-8200

^구로구

온수동

온수역세권개발

198000

대규모 상업·업무시설

도시계획수립완료(2009년 예정)

지구단위계획

(특별계획구역)

온수동

온수산업단지 재개발

149110

아파트형공장, 산업기계 유통센터, 비즈니스센터, 아파트 등

기본계획수립완료 (2007 4)

지구단위계획(1)

2060-2151

천왕동

천왕2지구

63

아파트 1560가구

국민임대예정지구(2006 11)

그린벨트 해제지

2687-8700

항동

푸른수목원

129

친환경 관광단지

토지보상 중

도시계획

2613-6688

고척1

교정시설 이전지 개발

11970

주거·문화 복합단지

기본계획 수립 중(2009년완료예정)

지구단위계획

2682-0808

고척동

세아제강

부지 개발

57261

문화 체육단지(야구장 등)

기본계획 수립 중

지구단위계획

3666-3111

가리봉동

가리봉균촉지구

279110

상업·업무·문화·주거 복합단지

촉진계획결정고시(2008 5)

도시환경정비

852-6369

구로동

CJ공장부지

34443

미정

미정

지구단위계획(예정)

867-0711

오류동

동부제강 공장

부지 개발

5742

미정

미정

지구단위계획(예정

2611-2005

^강서구

마곡동 일대

마곡지구

3364000

주택 9500가구, 첨단산업시설

구역 지정

(2007 12)

도시개발사업

3662-9988

방화동 일대

강서뉴타운

512000

주택 7530가구

일부구역시행인가

재정비촉진

2666-9002

^양천구

신월동

신정뉴타운

70700

주택 11650가구

구역별 조합 설립

재정비촉진

2698-8925

신정3

메디컬센터

11189

지하4층∼지상7(350병상)

설계용역 완료(2008 3)

지구단위계획

2698-8400

목동

해누리타운

2958

문화·복지센터

실시설계실시

지구단위계획

2647-5000

^금천구

독산동

도하부대 부지

19

복합단지

기본계획 수립

지구단위계획

867-4392

가산동

가산지구

73757

주거지 정비

기본계획

지구단위계획

702-5500

독산동

독산지구

198388

주거지 정비

기본계획

지구단위계획

893-8949

시흥동

시흥뉴타운

721416

주거지 정비

지구지정

재정비촉진

803-7884

독산동

롯데공장부지 개발

59960

미정

미정

지구단위계획(예정)

893-8949

시흥동

대한전선 공장부지 개발

82982

주거·상업 복합단지

철거완료

지구단위계획

803-7884

^관악구

신림동

신림뉴타운

537100

주택 4545가구

촉진계획결정고시(2008 4)

재정비촉진

862-5566

봉천7

에듀밸리

2

영어 체험시설

착공

(2008 11)

지구단위계획

884-8100

^동작구

노량진1·2동 일대

노량진뉴타운

762000

주택 12500가구

구역별사업추진 중

재정비촉진

824-5580

흑석동

흑석뉴타운

894933

주거지 정비

촉진계획결정고시(2008 9)

재정비촉진

825-8989

노량진동

노량진민자역사

38650

지하1층∼지상17

(철도역사, 판매시설)

환경평가 완료(2007 6)

지구단위계획

824-5580

노량진동

수산시장 현대화

31820

수산복합단지

기본·실시설계

지구단위계획

817-4700

#개발 계획은 사정에 달라질 수 있음. 자료: 구청·업체·중개업소






Posted by 중개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