촉진지구로 갈피 잡은 강북개발
강남-북간 집값 격차 해소도 기대

17일 한남, 흑석, 은평, 길음 등 16개 뉴타운이 재정비촉진지구로 인정됨에 따라 강북 개발이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 강북에도 강남에 버금가는 주거환경이 조성돼 강남-강북간 집값 격차도 많이 해소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RE멤버스 고종완 대표는 "재정비촉진지구에는 기반시설 조성이 수월해지고 층고, 용적률 등에서 인센티브가 주어지기 때문에 개발 사업에 대한 주민들의 동의 등이 쉽게 이뤄질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강북 개발 사업에 속도가 붙어 2-3년내에 강북의 주거환경과 교육여건이 크게 개선되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면서 "지금까지 강남에 집중됐던 수요가 강북으로 분산되며 강남과 강북의 집값 격차가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유엔알컨설팅 박상언 대표는 "정부의 제도적 지원이 뒷받침되기 때문에 사업 추진이 빨라질 것"이라면서 "토지거래허가제 시행으로 인해 이들 지역의 거래는 실수요자위주로 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는 "재정비촉진지구로 지정될 것이라는 기대감에 따라 이미 땅값이 많이 올랐기 때문에 촉진지구로 지정됐다고 해서 땅값이 폭등하지는 않을 것"이라면서 "당장은 아니더라도 장기적으로는 주택 공급이 늘어 집값 안정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했다.

"허가제 시행이 사업지연" 지적도

그러나 일각에서는 토지거래허가제 시행이 오히려 사업 속도를 더디게 할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부동산뱅크 길진홍 팀장은 "재정비촉진지구로 지정되면 토지거래허가제 시행에 따라 토지를 사고 팔기가 어려워진다"면서 "아파트를 분양받을 여력이 안돼 지분을 팔려고 하더라도 팔 수가 없으면 주민들간에 추가비용분담 등을 둘러 싼 의견 대립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길 팀장은 "또 중장기적으로는 아파트값 안정에 기여하는 면이 있겠지만 당장은 주변지역의 아파트값을 상승시킬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재정비촉진지구로 인정된 지역의 주민들은 주거환경이 개선되고 집값이 오를 것이라는 기대감에 따라 지구 지정을 환영하는 분위기이다.

그러나 보유한 지분이 적어 추가비용을 많이 내야 하는 원주민들의 경우 실수요자들에게 지분을 팔고 더 싼 지역으로 옮기는 방안도 강구하고 있다.

영등포구 신길동의 굿모닝공인 관계자는 "주민들은 대체로 지구 지정을 반기고 있지만 나이가 많거나 경제적으로 여유가 없는 경우에는 매매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고 있다"고 전했다.


조인스랜드 취재팀


Posted by 중개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