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터미널과 경부고속도로 반포IC 인근에 있는 삼호가든 아파트는 1980년대 초반 신축당시 드라마에서 고급아파트의 상징으로 등장할 만큼 ‘강남 아파트’의 대명사였다. 삼호가든에 거주하는 주민은 곧 성공한 부자로 인식됐다. 하지만 이 아파트도 수명이 오래돼 비가 오면 물이 새고 벽에 금이 가는 등의 낡은 아파트가 됐다. 이런 상황에서 시작된 삼호가든의 재건축은 다시 ‘강남 초고가 아파트’(평당 4000~5000만)의 탄생으로 여겨졌다. 실제로 인근에 재개발된 반포자이, 래미안 등의 아파트들은 강남권에서 가장 비싼 초고가 아파트의 상징이 됐다. 삼호가든의 마지막 재개발 아파트 4차의 주민들도 당연히 기대감이 컸다. 이곳 주민들은 주거생활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재산증식에 대한 기대감으로 재개발을 추진했지만 서울시가 잣대도 없으면서 이유가 불분명한 이유를 들어 재건축안을 급거 보류했다. 인근 경부고속도로를 감안해 ‘층고’를 다양히 해야 한다는 것과 양로원 등의 주민시설이 학교와 너무 가깝다는 이유였다. 하지만 재건축추진위는 서울시가 그동안 강남아파트의 층고를 35층으로 권고해 왔다며 반발하고 있다. 주민시설도 학교와 거리가 멀기 때문에 납득이 가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서울시는 이에 대해 ‘건축 심의와 관련된 정확한 기준안은 없다’고 하기도 했다. 따라서 재건축 심의는 합리적인 가이드라인이나 기준에 의한 것이기 보다는 그때그때 ‘고무줄 잣대’로 평가되고 있는 상황이었다. 주민들은 이에 대해 박원순식 재개발 논리를 앞세워 ‘강남 역차별’을 하고 있다고 강하게 성토하고 있다. 강남 재건축 현장 일곱 번째 시리즈로 서초삼호가든4차의 재건축 보류가 담고 있는 현황과 이슈들을 현장 취재했다. ![]() |
초고가 재건축 추진 제동에 ‘강남 역차별’ 비판
[재건축 르포⑦–서초삼호가든4차]…박원순식 논리에 ‘고무줄 잣대’ 반발
고속터미널과 경부고속도로 반포IC 인근에 있는 삼호가든 아파트는 1980년대 초반 신축당시 드라마에서 고급아파트의 상징으로 등장할 만큼 ‘강남 아파트’의 대명사였다. 삼호가든에 거주하는 주민은 곧 성공한 부자로 인식됐다. 하지만 이 아파트도 수명이 오래돼 비가 오면 물이 새고 벽에 금이 가는 등의 낡은 아파트가 됐다. 이런 상황에서 시작된 삼호가든의 재건축은 다시 ‘강남 초고가 아파트’(평당 4000~5000만)의 탄생으로 여겨졌다. 실제로 인근에 재개발된 반포자이, 래미안 등의 아파트들은 강남권에서 가장 비싼 초고가 아파트의 상징이 됐다. 삼호가든의 마지막 재개발 아파트 4차의 주민들도 당연히 기대감이 컸다. 이곳 주민들은 주거생활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재산증식에 대한 기대감으로 재개발을 추진했지만 서울시가 잣대도 없으면서 이유가 불분명한 이유를 들어 재건축안을 급거 보류했다. 인근 경부고속도로를 감안해 ‘층고’를 다양히 해야 한다는 것과 양로원 등의 주민시설이 학교와 너무 가깝다는 이유였다. 하지만 재건축추진위는 서울시가 그동안 강남아파트의 층고를 35층으로 권고해 왔다며 반발하고 있다. 주민시설도 학교와 거리가 멀기 때문에 납득이 가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서울시는 이에 대해 ‘건축 심의와 관련된 정확한 기준안은 없다’고 하기도 했다. 따라서 재건축 심의는 합리적인 가이드라인이나 기준에 의한 것이기 보다는 그때그때 ‘고무줄 잣대’로 평가되고 있는 상황이었다. 주민들은 이에 대해 박원순식 재개발 논리를 앞세워 ‘강남 역차별’을 하고 있다고 강하게 성토하고 있다. 강남 재건축 현장 일곱 번째 시리즈로 서초삼호가든4차의 재건축 보류가 담고 있는 현황과 이슈들을 현장 취재했다
박원순 서울시장의 명확한 기준이 없는 강남 개발에 해당 지역 주민들의 항의가 잇따르고 있다.
이번 결정에 해당 지역 주민들은 정확하고 합리적인 기준안을 제시하지 않은 채 ‘모호한 기준’으로 판정을 내렸다며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지난해 10월에는 주민 415명중 313명의 동의를 얻어 추진위원회 설립을 신청하고 다음 달인 11월에 승인을 획득해 현재 운영 중이다.
하지만 단지 옆에 반포고등학교가 위치하고 외부를 경부고속도로가 감싸고 있는 부분이 계획안 심의 과정에서 걸림돌이 됐다.
채 위원장은 “현재 주민들은 배관이 막히고 비가 오면 물이 새는 열악한 주택에서 생활하고 있다. 서울시의 의견을 참고한 새로운 계획안을 다음 달까지 제출할 계획이다”며 “서울시의 정확하고 빠른 행정처분으로 하루빨리 좋은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부동산(개발,재개발,재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건축 르포⑤]-신반포1차…30→35→50→61→35층 롤러코스트 (0) | 2012.11.29 |
---|---|
[재건축 르포⑥–용산국제업무지구]…보상액 사상초유 수조원대 논란 (0) | 2012.11.29 |
[재건축 르포⑧-삼성동 상아3차] 가림막 경관·공원 위치 등 묘한 기준 (0) | 2012.11.29 |
[재건축 르포⑨]-위례신도시 A1-8블록<상>보금자리주택 개발 현장 (0) | 2012.11.29 |
[재건축 르포⑩]-위례신도시 A1-11블록<중> 기대부푼 반값 당첨자들 (0) | 2012.11.29 |